김앤신경과 병원 DID모니터 의료기관 설치 사례
페이지 정보
본문
공공기관이나 콘서트장 등 다양한 장소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게 DID 모니터 입니다. DID란 Digital Information Display의 약자로 디지털 플레이어 정보를 표시하는 장치입니다.
병원과 같은 의료기관에서도 DID 모니터가 대중화되고 있는 추세입니다. DID 모니터는 진료 시스템을 스마트하게 업그레이드하고 정보를 효율적으로 전달하는 장점이 있습니다.
김앤신경과 병원에서 여러 업체들을 알아보고 비교하다가 애니텍이 여러 병원과 기업의 DID시스템 구축 경험이 풍부해서 전문성을 갖고 있다고 판단하셨다고 해요
게다가 삼성전자 공식 B2B 스타 파트너로 믿을 수 있는 업체라고 생각하셔서 여러 업체 중 애니텍으로 최종 결정을 하셨습니다.
55인치 DID모니터 2대는 각각 진료실 앞과 로비에 설치되며 병원 홍보 콘텐츠를 송출하고 진료대기 순서를 안내하는 용도로 사용됩니다.
벽체 소재 및 구조 확인
가장 먼저 진행된 작업은 벽체의 재질 및 구조 파악입니다. 벽체가 DID모니터 무게를 지지할 정도로 충분히 튼튼한지 확인합니다. 브라켓 설치를 위해서 벽체의 재질도 체크합니다.
설치 현장의 벽체는 충분히 단단한 상태여서 따로 보강이 필요하진 않았습니다.
매립형 브라켓 설치
다음으로 매립형 브라켓을 설치합니다. DID 모니터를 매립형으로 설치할 경우 누르면 전면으로 돌출되는 팝업 브래킷을 사용합니다. 팝업 브래킷을 사용해야 유지.보수가 수월합니다.
벽면에 수평과 수직을 정확하게 맞춰 브라켓 설치 위치를 표시합니다. 브라켓을 벽면에 고정하고 수평기로 수평이 잘 맞는지 최종적으로 확인합니다.
DID 모니터 설치
브라켓 설치 후 삼성 55인치 DID 모니터 2대를 순차적으로 장착했습니다. VESA 홀에 잘 맞춰 모니터를 브라켓에 단단하게 결합합니다. 2인1조로 작업이 이루어졌습니다.
모니터 장착 후 전원과 HDMI와 같은 각종 케이블을 연결했습니다. 케이블은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깔끔하게 정리합니다.
DID 모니터 전원을 켜고, 해상도, 색감, 음향 등을 최적화해서 조정합니다. 테스트 영상을 업로드하고 콘텐츠가 정상적으로 송출되는지 확인합니다.
최종 테스트 결과 문제업싱 정상적으로 작동되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테스트 완료 후 병원 직원을 대상으로 기본 사용법과 주의사항을 알려드렸습니다.
DID 모니터 설치 후 기대효과
▶ 진료 효율 향상
진료 대기 순서를 실시간으로 알 수 있어 혼선 방지
▶ 환자 만족도 상승
대기시간 동안 병원 안내 및 각종 건강 정보를 시청함으로써 지루함 해소
▶ 병원 전문성과 신뢰성 향상
병원의 전문성을 홍보하는 영상을 노출해 병원의 신뢰도 향상
- 이전글밝은해 한의원 디지털 디스플레이 DID 모니터 설치 사례 25.06.24
- 다음글대구 인터 건축사무소 사이니지 세로 벽걸이형 설치 사례 25.06.24